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| 30 |
- C#
- error
- paramiko
- Selenium
- windows forms
- SSH
- label
- C++
- 프로그래머스
- 기타 연주
- VS Code
- Docker
- 컨테이너
- YOLO
- Python
- C
- Numpy
- ubuntu
- pytorch
- 채보
- Linux
- OpenCV
- mysql
- JSON
- 오류
- pip
- nvidia-smi
- Visual Studio
- 핑거스타일
- pandas
- Today
- Total
목록LIST (4)
기계는 거짓말하지 않는다
파이썬에서 리스트 내에 있는 숫자 중 빠진 숫자를 찾으려면 range와 set을 사용할 수 있다. 아래는 간단한 예이다. def find_missing_number(numbers: list): # 리스트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찾아서 해당 범위의 모든 숫자 생성 min_num, max_num = min(numbers), max(numbers) all_numbers = set(range(min_num, max_num + 1)) # 리스트에 있는 숫자들을 제외한 빠진 숫자를 찾기 missing_numbers_list = list(all_numbers - set(numbers)) return missing_numbers_list temp_list = [1, 3, 4, 6, 8] # 빠진 숫자 찾기 missing_..
리스트 내포(List comprehension)와 조건문을 이용하여 필요한 값만 남긴다. 아래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. name_dict = {i:1 for i in range(0, 10, 2)} print("necessary value:", list(name_dict.keys())) origin_list =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, 10, 11] print("origin value:", origin_list) origin_list = [i for i in origin_list if i in name_dict] print("removed value:", origin_list)
리스트의 선언, 할당 과정을 간단하게 한 줄로 처리할 수 있다. 리스트 내포의 간단한 사용 예시이다. # 순차 할당 temp_list = [i for i in range(10)] print(temp_list, "\n", "-" * 40) # 2중 반복 temp_list = [j for i in range(3) for j in range(5)] print(temp_list, "\n", "-" * 40) # 조건문 temp_list = [i for i in range(10) if i > 5 or i < 2] print(temp_list, "\n", "-" * 40) # 대입 값 조건문 temp_list = [i if i < 5 else -1 for i in range(10)] print(temp_list,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