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pip
- error
- 채보
- 오류
- JSON
- 컨테이너
- OpenCV
- Docker
- paramiko
- 핑거스타일
- Numpy
- 기타 연주
- mysql
- YOLO
- C#
- pandas
- Linux
- C++
- VS Code
- Visual Studio
- 프로그래머스
- Python
- pytorch
- C
- SSH
- Selenium
- windows forms
- label
- ubuntu
- LIST
Archives
- Today
- Total
기계는 거짓말하지 않는다
Linux Core Dump 설정 본문
코어 덤프(Core Dump)는 프로그램이 Segmentation fault (core dumped)와 같이
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메모리 덤프를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.
ulimit 명령을 사용하여 코어 덤프 파일을 설정할 수 있다.
단순 명령어로 설정하면 현재 세션에만 유효하다.
현재 설정 확인
리소스 제한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.
ulimit -a
코어 덤프 활성화
코어 덤프를 무제한으로 설정한다. 프로그램이 비정상 종료될 때마다 코어 덤프 파일이 생성된다.
ulimit -c unlimited
코어 덤프를 생성하지 않으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.
ulimit -c 0
세션마다 영구적으로 설정
ulimit 명령으로 설정한 값은 현재 세션에서만 유효하며, 세션이 종료되면 초기화된다.
영구적으로 설정하려면 shell 설정 파일(bashrc, .bash_profile, .zshrc 등)에 추가해야 한다.
echo "ulimit -c unlimited" >> ~/.bashrc
# 적용
source ~/.bashrc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omments